반응형

 

 최근에 전세사기가 많아지면서 보증금을 잃게되는 세입자들이 많았습니다. 보증금은 대출을 받아 마련한 돈일 수도 있고 몇 년간 모은 돈으로 마련한 것일수도 있습니다. 전재산이나 다름없는 돈을 잃게되는일이 없도록 깡통전세인 곳을 알아보고 피하자는 것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깡통전세의 뜻과 MBC에서 만든 깡통전세감별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깡통전세를 확인하고 피하여 돈을 잃는 일이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아래에 홈페이지 링크 걸어두었으니 들어가서 확인해봅시다.

 

http://dgdesk.mbcrnd.com/rentmap/

깡통전세 뜻

 

 깡통전세의 뜻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세입자가 보증금으로 넣은 금액인 전세금과 집주인이 집을 담보로 하여 대출을 받은 금액의 합이 집값이랑 거의 비슷하거나 높은 경우를 말합니다. 집을 담보로 받은 대출금액과 세입자에게 받은 전세 보증금의 합계가 집값의 70% 이상이면 깡통전세로 본다고 합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은 60%이상만 되도 해당한다고 생각합니다. 몇 년 사이에 집값이 많이 상승한 곳이 대부분이고 원래의 가격으로 다시 돌아가기 전까지는 주택의 가격이 계속 하락하는 추세이므로 깡통전세의 위험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MBC에서 만든 깡통전세 감별기

 

 깡통전세가 많아지고 있어 전세사기를 당하고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문제가 많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MBC가 전국 주택을 대상으로 하여 깡통전세 감별기를 만들었습니다. 2022년도 기준으로 아파트와 다세대주택의 전세와 매매가를 조사하여 평균치를 만들어놓은 것입니다. 다세대주택에는 다가구주택, 오피스텔, 단독주택은 제외됩니다. 깡통전세 감별기 자료는 국토교통부에서 볼 수 있는 실거래가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도시연구소와 공동으로 만든 것이라고 합니다. 깡통전세 감별기를 검색하고 홈페이지에 들어가보면 깡통전세 비율과 전세가율 80% 이상인 지역을 비율 순으로 하여 나열해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으로 하여 정리가 되어있고 시군구의 단지 수, 비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2021년과 2022년 사이에 아파트 가격이 하락한 것을 볼 수 있는데 전세가는 오히려 상승하였습니다. 그래서 세입자가 빌라나 오피스텔뿐 아니라 아파트에서도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할 확률이 높아진 것입니다.

 

전세가율 변화

 평균 전세가율이 80%를 넘어 100% 이상인 곳을 비교해보겠습니다. 서울 단지 수가 대략 12천개인데 그 중에 전세가율이 100% 이상인 곳이 11백개정도입니다. 비율로 환산하면 9%정도가 됩니다. 서울을 기준으로 높은 곳과 낮은 곳을 나열해보겠습니다. 서울보다 높은 곳은 인천시, 경기도, 경상북도가 있고 낮은 곳은 그 이외의 시인 부산시, 대구시, 세종시, 경상남도 등이 있습니다.

 

 수도권 아파트와 비수도권 아파트에 대해서도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수도권 아파트 중에서 깡통전세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경기도 이천시입니다. 비율로 적어보자면 59.6%60%에 가깝습니다. 1순위인 이천시를 제외하고 여주시, 인천 미추홀구, 강화군 등이 나열될 수 있습니다. 비수도권 지역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곳은 경상남도의 사천시입니다. 무려 75.4%의 비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사천지 이외에도 전북의 익산시, 전남의 목포시, 경북의 포항시, 경북 구미시, 전남 광양시도 70% 이상의 비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평균 전세가율의 변화는 2020년부터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2022년도에 최대치를 보였습니다. 전국으로 기준으로 2020년에는 79.6%를 보여주는데 2022년도에는 무려 110.5%를 보여줍니다. 2022년에 가장 높은 전세가율을 보인 충청북도는 115.3%이며 2020년보다 33%가 증가한 것으로 보입니다.

 깡통 전세 피해자들을 위해 HUG(주택도시 보증 공사)에서 세입자들의 보증금을 대신 해결해주었고 그 금액은 무려 2조에 가까웠습니다. 전세로 집을 구하는 세입자들은 MBC에서 내놓은 깡통전세감별기에서 꼭 확인을 해보고 등기부등본도 확인하는 방법을 배워야합니다.

 

지금까지 깡통전세 감별기에 대한 글을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